전체 글19 파워유저커브에 대하여 스타트업에서 트래픽을 볼 때 가장 많이 보는 지표는 MAU일 것이다. MAU는 트래픽에 있어서 매우 직관적인 지표이지만 완벽한 지표는 아니다. (완벽한 지표라는게 있을까?) 그래서 요즘 가장 재미있게 보고 있는 지표는 Power User Curve(PUC)이다. PUC의 정의 - 유저가 프로덕트를 특정 주기 안에 며칠 동안 사용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PUC를 보게 된다면 가지는 장점들이 몇 개가 있다. 첫 번째로, MAU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MAU의 경우 가입 유저의 영향을 아주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마케팅을 통해서 user acqusition을 끌어 올리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렇게 해서 들어 온 유저가 실제로 active user or heavy user로 가는 것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할 .. 2021. 2. 4. 넷플릭스 규칙 없음 넷플릭스 규칙 없음이란 책을 읽었다. 넷플릭스는 어떤 기업이었으며 어떤 변화를 거쳐서 현재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많은 부분이 감명깊었지만 가장 와 닿았던 부분은 넷플릭스는 아주 자유로운 기업이고 그 자유가 "책임"에 의해서 나온다는 것이다. 넷플릭스에서 가장 중요한 센텐스는 "넷플릭스에 가장 이득이 되도록 행동하라"이다. 우리는 아래의 두 조건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일을 너무 많이 해서 번아웃이 온다면 회사에 득이 될까? - 상사의 말이 틀렸다고 생각했음에도 반박하지 않는다면 회사에 득이 될까? 이러한 것들을 방지하기 위해 넷플릭스는 휴가 일 수 제한을 없앴고 계급에 상관없이 진실된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었다. .. 2020. 11. 21. 데이터를 볼 때 중립 유지하기. 데이터를 볼 때 가장 힘든 것이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다. 회사던 학계던 정제한 특정 데이터를 추출 & 시각화 한 다음 액션에 대한 프레셔가 상당하다. 내가 들인 공수에 비해 데이터의 임팩트가 너무 약할 때가 많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을 하다가 더 깊게 (deep dive) 하게 되고 거기서 아주 작은 임팩트를 발견하고 다행을 외친다. 그리고 그것을 기반으로 액션 아이템을 잡게 될 것이다. 정말 이게 맞는 것일까에 대한 고민이 있다. 이미 상당한 데이터 분석과 A/B 테스트를 통해 어느 정도의 기반은 갖췄을 것이기 때문에 (회사마다 다를 수도 있습니다 ㅠㅠ) 데이터적으로 아주 큰 결괏값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리텐션을 예로 들자면, 2 ~ 5% 정도라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2020. 9. 4. 지표에 대하여 - 린 분석 최근 린 분석이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https://search.daum.net/search?w=bookpage&bookId=944493&tab=introduction&DA=LB2&q=%EB%A6%B0%EB%B6%84%EC%84%9D) 좋은 지표와 허상 지표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좋은 지표란? 1. 상대적이다. - 사용자 그룹별, 경쟁자 별로 비교할 수 있으면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이해하기 쉽다. -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그 지표에 대해서 대화를 나눌 수 있어야 한다. 3. 비율로 표현된다. - 행동 반영, 비교의 속성, 내재된 갈등 요소 비교 용이하기에 좋다. 4. 행동 방식을 바꾼다. - 지표 변화에 따라 사업의 방향성을 바꿀 수 있다. 개인적으로 정리해보자면, 지표를 통해서.. 2020. 8. 2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