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커리어에 대해서 관심이 아주 아주 많다.
그래서 다른 회사들의 JD를 보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파악해보려고 한다.
(참고로 넷플릭스 규칙 없음이라는 책에서는 자신의 가치를 잘 파악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타회사에 지원해보는 것을 추천하기도 했다.)
Data PM이라는 직군 자체가 회사들마다 요구하는 롤이 꽤 다른 것 같다.
크게 봤을 때,
1. 데이터 분석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액션 아이템을 발굴 & 매니징
2. 회사 내 데이터 수집 가공과 연관된 업무들 매니징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역할은 1번이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지원자격과 우대사항을 살펴보려고 한다.
지원자격 및 우대사항 간략 정리
Data 관련
- SQL 활용 + R or Python 활용
- 대시보드 제작 경험
- 로그 데이터 활용 경험
PM 관련
- 프로젝트 리드 경험
- 신규 서비스 전체 프로세스 경험자
- 다양한 부서와 커뮤니케이션 경험자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는 로그 데이터 활용을 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프로젝트 관리 부분에 있어서는 증명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다만,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어떤 고민과 어떤 해결책을 제시했는지가 중요할 것 같다.
T자형 인재 측면에서 봤을 때
가로획은 PM 관련 (제너럴 한 스킬셋들)
세로획은 Data 관련 (스페셜한 스킬셋들)
이라고 생각된다.
그럼 이만
아래는 참조한 회사와 JD이다.
우아한 형제들
[업무내용]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프로덕트의 중장기적인 방향성을 수립하는 일
- 프로덕트의 개선을 위한 가설을 수립하고, 실험/평가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는 일
- 운영 상황에 대한 품질수준 목표를 수립하고 모니터링하여
개선이 필요하거나 풀어야할 문제들을 발굴하고 과제화 하는 일
- 프로덕트실과 사업부서의 협업 과정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다양한 관점을 프로덕트에 담아내는 일
[지원자격]
- 3~8년의 데이터 분석가 경력이 있는 분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SQL을 활용한 데이터 추출 및 R, Excel 등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이 능숙한 분
-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수행해 성과를 낸 경험이 있는 분
[우대사항]
- Tableau, Redash 등의 툴을 활용해 대시보드를 구현해본 경험이 있는 분
- 숫자 기반의 논리적 추론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과 기술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분
- 다양한 부서와 협업하며,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유연하게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
- 일의 처리과정을 효율화하고,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설계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업무적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며, 팀과 함께 성장하고 싶은 분
원티드
주요업무
• 데이터 수집/가공/제공의 전반에 걸친 로드맵 설계 및 관리
• 데이터 관련 요구사항 커뮤니케이션/분석/정리 및 제품/서비스 설계/연동/트러블슈팅
• 수집되는 데이터의 규격화 및 정합성 관리
자격요건
• 원티드의 기업문화, Wanted Way 와 잘 맞는 분 (https://bit.ly/3kT1BFQ)
• 데이터 분석가/데이터 엔지니어/서비스PM 등의 경력 2년 이상
• 웹/앱 제품 사용 중에 발생하는 유저행동 로그를 기획, 생성, 정합성 검증하여 분석에 활용하거나, 분석가에게 제공하는 업무 1년 이상
• Google Tag Manager등을 활용하여 웹/앱 이벤트를 다수 생성하고, 발생한 로그를 분석툴에서 뿐만 아니라 data warehouse에서 조회한 경험
• 현업에서의 데이터 지표 분석 툴 사용 경험 (Google Analytics, Google Tag Manager, Amplitude, Google Optimize, Appsflyer, Braze, Tableu 등)
• 다수의 데이터 소스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join 가능하도록 가공하거나, 플랫폼을 도입한 경험
• SQL 활용 능력 중급 이상
• 개발자 및 business side와의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없으신 분
카카오
데이터 프로덕트 PM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역할입니다. 서비스 PM/서비스 기획자/데이터 분석가/그로스 해커 등으로 알려진 역할을 데이터 프로덕트 개발 단계에 따라 수행하게 됩니다.
- 데이터 분석가로서 데이터 탐색, 코어 알고리즘 구현, 성능 평가 및 사후 분석을 수행
- 서비스 기획자로서 데이터 프로덕트의 컨셉과 목적, 사용자 가치를 정의하고 주요 기능을 설계
- 프로젝트 매니저로서 프로덕트 개발에 필요한 자원과 일정을 관리
위의 업무는 개인의 경험과 역량에 따라 1인 혹은 소규모 팀으로 수행하게 되며, 제품 개발을 위해 디자이너/개발자/QA 등 다양한 전문가들과 소통하고 협업하게 됩니다.
◆지원자격
#필수사항
- 데이터 분석가/퍼포먼스 마케터/서비스 PM 등의 직군에서 최소 1년 이상 업무 경력 보유자
- 로그 수준의 데이터를 다루는 업무 최소 1년 이상 경험자 (데이터 분석가/데이터 엔지니어/서비스 개발자/통계학자 등 세부 분야는 무관)
#우대사항
- 통계/알고리즘/위상수학/네트워크 이론 등 숫자를 다루는 학술 연구 경험 보유자
- 신규 서비스 컨셉 도출부터 런칭까지 전체 프로세스 경험 보유자
- Performance marketing/product optimization 등 실험 기반 업무 2년 이상 경험 보유자
- 다양한 형태의 raw data를 다뤄본 경험 보유자
'Product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커리어 패스에 관하여 (0) | 2021.02.07 |
|---|---|
| 파워유저커브에 대하여 (0) | 2021.02.04 |
| 지표에 대하여 - 린 분석 (0) | 2020.08.25 |
| 북극성 지표 (North Star Metric) (0) | 2020.08.16 |
| PM으로서 4주차 회고 (0) | 2020.08.13 |
댓글